본문 바로가기

미시경제학

완전경쟁시장의 한계수입곡선

시장에의 자유로운 진입/탈퇴, 수많은 소비자, 동질적인 상품 등

완전경쟁시장은 수평의 수요곡선을 갖습니다.

이러한 곡선의 형태는

시장에의 자유로운 진입/탈퇴, 수많은 소비자, 동질적인 상품 등

완전경쟁시장의 특성 때문입니다.


그런데, 개별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(D)은 다름아닌 평균수입곡선(AR)이면서 가격(P)과 같다는 것입니다.

이것은 개별기업은 가격을 주어진 그대로 받아들이는 가격수용자이기 때문에 단위당 가격(=단위당 수입, 즉 평균수입)이 일정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.

수평의 수요곡선이 평균수입곡선일 때, 한계수입곡선도 수평이면서 평균수입곡선과 일치합니다.

(평균곡선>한계곡선일 때 평균곡선이 감소하고, 한계곡선>평균곡선일 때 평균곡선이 감소하며, 평균곡선이 일정할 때는 한계곡선과 일치한다는 점을 떠올려보세요)

그러니까, 완전경쟁시장에서는 MR곡선이  없는 것이 아니고, 수요곡선(=평균수입곡선)과 일치하기 때문에 따로 표시를 하지 않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.


수학적으로 설명해 보면


예를 들어

P=AR=10 이라고 할 때

총수입 TR = P*Q = 10Q


TR을 Q에 관하여 미분하면

MR=10


즉 AR=MR